티스토리 뷰

반응형

 

 

 

최근 근로자들 사이에서 연장, 야간, 휴일 근로 수당의 비과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수당이 비과세 소득으로 어떻게 인정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장, 야간, 휴일 근로 수당 비과세 안내

 

1. 연장, 야간, 휴일 근로 수당의 정의

연장, 야간, 휴일 근로 수당은 근로자가 정규 근로 시간을 초과하거나 야간, 휴일에 근무할 경우 추가로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라 규정되어 있으며, 근로자의 근로 조건과 복지를 고려하여 마련된 제도입니다.

연장 근로 수당
연장 근로 수당은 근로자가 정해진 근로 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할 경우 지급됩니다. 대한민국의 경우, 통상적으로 주 40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이를 초과한 근로에 대해서는 추가 수당을 지급합니다. 연장 근로 수당은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한 금액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A 근로자의 시급이 10,000원일 경우, 연장 근로 수당은 10,000원 + (10,000원의 50%) = 15,000원이 됩니다. 따라서 A 근로자가 1시간의 연장 근로를 한다면, 15,000원의 연장 근로 수당을 받게 됩니다.

야간 근로 수당
야간 근로 수당은 밤 10시부터 다음 날 새벽 6시까지의 근로에 대해 지급됩니다. 이 역시 통상임금의 50%를 추가로 지급합니다. 야간 근로는 일반적인 근로 환경과 다르게 신체 리듬의 변화, 피로도 증가 등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B 근로자가 밤 11시부터 새벽 3시까지 4시간을 근무하였고, 시급이 10,000원일 경우, 야간 근로 수당은 (10,000원 + 5,000원) x 4시간 = 60,000원이 됩니다.

휴일 근로 수당
휴일 근로 수당은 법정 휴일 또는 회사가 정한 휴일에 근로를 제공할 경우 지급됩니다. 휴일 근로의 경우, 통상임금의 100%를 추가로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C 근로자가 법정 공휴일에 8시간 근무하였고, 시급이 10,000원일 경우, 휴일 근로 수당은 (10,000원 + 10,000원) x 8시간 = 160,000원이 됩니다.

 

 

 

 

2.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받는 조건

연장, 야간, 휴일 근로 수당이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받기 위한 조건은 소득세법과 소득세법 시행령에 따라 엄격히 정해져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때만 근로자는 해당 수당에 대한 소득세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1.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받는 기본 조건

업종별 요건 충족: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받으려면 소득세법에서 규정하는 특정 업종에 종사하는 근로자여야 합니다.
급여 요건 충족: 소득세법 제12조와 시행령에 따라, 시간 외 근로에 대해 연 240만 원까지 비과세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광산 근로자와 일용근로자의 경우, 이 한도를 초과해도 전액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 근로자가 연장, 야간, 휴일 근로를 통해 연간 총 300만 원의 수당을 받았다고 가정해 봅시다. D 근로자가 소득세법에서 정하는 특정 업종에 속해 있고, 일용근로자가 아닌 경우, 비과세 한도는 240만 원입니다. 따라서 D 근로자는 240만 원까지는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받지만, 나머지 60만 원에 대해서는 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2. 업종별 비과세 조건의 예시

공장 근로자: 공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연장, 야간, 휴일 근로를 통해 연간 250만 원의 수당을 받았다면, 이 중 240만 원까지는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됩니다.
광산 근로자: 광산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동일한 조건으로 수당을 받았다면, 광산 근로자에 대한 특별 조항에 따라 전액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됩니다.

 3. 추가적인 조건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월정액급여가 210만 원 이하이면서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3,000만 원 이하인 조건도 충족해야 합니다. 이는 근로자의 전반적인 소득 수준을 고려하여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3.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대상 업종

1 공장 또는 광산 근로자 생산 및 관련 종사자
2 어업에 종사하는 자에게 고용된 근로자 선장을 제외한 어업 종사자
3 운전 및 운송 관련직 종사자 운전 및 다양한 운송 분야에 종사하는 근로자
4 서비스직 종사자 돌봄, 미용, 여가/관광, 숙박시설, 조리, 음식 관련 종사자
5 매장 판매 종사자 및 상품 대여 종사자 매장에서 상품을 판매하거나 대여하는 근로자
6 통신 관련 판매직 종사자 통신 서비스 및 제품을 판매하는 근로자
7 단순 노무직 종사자 운송, 청소, 경비, 가사, 자판기 관리, 주차 관리 등의 분야 종사자

 

4.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한 조건

월정액급여 요건: 월정액급여가 210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월정액급여란 정기적으로 받는 급여에서 부정기적인 급여와 비과세 소득, 복리후생적 성질의 소득, 시간 외 근로 수당을 제외한 급여를 말합니다.
총 급여액 요건: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3,000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이는 근로자의 전체적인 소득 수준을 고려한 조건입니다.

예시 1: E 근로자의 월정액급여가 200만 원이고,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2,800만 원일 경우, E 근로자는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합니다.
예시 2: F 근로자의 월정액급여가 220만 원이고,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2,900만 원일 경우, 월정액급여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5. 월정액급여의 정의

월정액급여란 근로의 제공 대가로 받는 총급여에서 상여 등 부정기적인 급여와 실비변상적 성질의 비과세 소득, 복리후생적 성질의 비과세 소득, 시간 외 근로 수당을 제외한 급여를 의미합니다.

 

 

 

6. 결론

연장, 야간, 휴일 근로 수당에 대한 비과세 조건이 매년 최저임금 인상에 비해 낮게 설정되어 있어 비과세 혜택을 받기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기준 소득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비과세 적용을 통해 급여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들은 자신의 급여에서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